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노스포 라오어2 디테일하게 플레이 해보고 엔딩 소감

와 볼륨 엄청 크네요 

라오어1 두배 이상 같아요

 

언차4도 크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상이네요

스포 당하기 싫고 망겜이라는데 내가 다 즐긴 다음에 직접 망겜인지 판단하려고 

이 악물고 플레이 해서 엔딩 봤습니다.

 

25시간 이상 플레이 타임 나오는거 같아요

플레이 소감은 딱 한줄로 이야기 하자면 엔딩을 한 4번정도 본거 같습니다.

 

우선 장점을 이야기 해보자면 

손맛이 끝장입니다. 라오어에서만 느끼는 손맛이 있어요.

암살 손맛도 좋고요. 타격감도 좋고 특유의 총쏘는 맛도 있습니다.

연출 역시 언차보다 더 진보 했네요. 

배경 디테일도 좋았고요. 

특히 배경은 1편 장소 오마주도 있는거 같고 언차 배경 오바주도 있는거 같더라고요.

하면서 신기하고 재미있었습니다.

맵 레벨 디자인이 커진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길을 잘 못찾는데 

그나마 다행인게 옵션 중에 길 자주 알려주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거 켜고 하는거 강추입니다.

그리고 추가한 행동과 무기 옵션은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했고요.


단점을 이야기 하자면 

일단 아이템 파밍이 좀 루즈하네요 1편 처럼 아이템을 한개를 주는게 아니라 나눠 주는거라서 자주 서랍 열다 보니 루즈합니다.

볼륨이 크다 보니 엔딩 크레딧 나와도 되것다 한게 한 3번 이상입니다.

맵 레벨이 크다보니 길 찾는게 쬐금 루즈하네요.

그리고 제가 잔인한거 싫어하는데 좀 잔인합니다.

딱 스토리가 멀티를 하기 위한 듀토리얼인데 막상 멀티가 아직 없는게 무척 아쉽네요.

 

제 의견은 망게임은 아닙니다. 레데리2때 상황하고 비슷합니다. 호불호가 갈렸죠.

이 만큼 잘만든 게임은 찾기는 불가능합니다. 단 스토리나 설정등에서 불만이 큰거 같네요.

감독이 이것저것 챙기다 보니 핵심인 팬보이들의 마음을 챙기지 못했네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닷넷과 MFC에서 OCX컨트롤 추가하기

1. 프로젝트 생성 (일반적인 윈폼 프로젝트를 만든다) 닷넷 또는 MFC 응용(윈폼) 프로그램으로 프로젝트 생성 응용프로그램 종류는 대화상자 기반으로 생성한다. 2. OCX 등록 (핵심) 도구 상자에 추가 해놓고 사용한다. 도구 -> 도구 상자 항목 선택(X) -> 찾아보기 -> OCX 파일 선택 다이얼로그 편집기에서 도구상자를 보면 추가한 OCX가 보인다. 3. OCX 그리기 다이얼로그에 추가한 OCX를 그린다. 4. OCX 변수 등록(MFC) OCX를 다이얼로그에서 오른쪽버튼 ->변수추가 OCX에 해당하는 변수를 등록한다.(닷넷은 바로 변수가 생성 되니 바로 사용한다.)

C# 에서 OCX 파일 DLL로 만들어서 사용하기

C# 에서 OCX 파일 DLL로 만들어서 사용하기 C++에서 만든 OCX파일을 DLL로 만들어서 사용해야 할때가 있다 http://orthogonal.tistory.com/189 Microsoft SDKs (개발 도구 폴더) 에서 Axlmp 명령을 이용해서 dll을 만들어주자 참고 에러 발생 시 또는 사용 법 http://blog.naver.com/renomahr/188250151

모바일 분류| 핸드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 테더링 제한 없이 사용하기

  핸드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 테더링 제한 없이 사용하기 아실 분들은 아시겠지만 핸드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테더링이 무한이 아닙니다. 요금제에 따라서 10~40기가 정도를 쓸 수 있고 그 이상이 되면 속도 제한이 걸립니다. 그러나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우회로 테더링(핫스팟)을 무한으로 속도 제한 없이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구글 스토어의 경우 Android Proxy Sever 어플이 있습니다. 이걸 다운을 받으시고 설치하신 후 HTTP/HTTPS Proxy 켜시면 되고 좀 더 자세한 설정을 원하시면 우측 상단에 점 3개가 가로로 있는 부분 눌러서 설정을 잡을 수 있습니다. 다른 거 만질 건 없습니다. 그냥 오토스타트 정도만 켜주면 됩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 만드는 기능도 있는데 어차피 테더링 접속할때 비번 넣고 들어가도록 했을테니 비번을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한 가지 빼먹었네요.  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가셔서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허용을 체크를 해주셔야 화면이 꺼져도 정상적으로 테더링이 됩니다. 그리고 윈도우에서 프록시 설정을 잡아 주시고 검색창에 프록시 설정 변경 검색하고 열기해서 들어가면 됩니다. 그리고 Android Proxy Sever에서 설정했던 아이피 주소와 포트를 넣어주시면 되구요. 로컬 주소에 프록시 서버 사용안함은 선택을 안하셔도 됩니다.  그냥 위에 세미콜론으로 접속을 원하는 내부망 주소를 넣어주시면 그 주소만 프록시 없이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이제 핸드폰에 테더링을 켜고 프록시 와이파이로 접속하면 무제한으로 테더링(핫스팟)을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테더링을 무제한으로 사용하는거니 그냥 데이터 통신연결을 꺼주셔야 평소와 똑같이 업데이트나 다른 걸 편안하게 이용가능합니다. 잠깐씩 출장갈때 느려 터지고 믿을 수 없는 호텔 와이파이로 놋북 사용하느니 이렇게 해 놓구 테더링 쓰는게 더 안전하고 빠릅니다. 그리고 딱히 집에서 인터넷도 많이 안쓰는데 한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