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RD 세션 호스트 ?? 이건 머지??

적용 대상: Windows Server 2008 R2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RD 세션 호스트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서버는 

Windows 기반 프로그램 또는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클라이언트용 전체 Windows 데스크톱을 호스팅하는 서버입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을 저장하고, 해당 서버의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또는 RemoteApp를 사용하여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의 프로그램에 액세스하면 서버에서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각 사용자에게는 해당 개별 세션만 표시됩니다. 
세션은 서버 운영 체제에서 투명하게 관리되며 다른 클라이언트 세션과는 독립적입니다.
프로그램을 각 장치에 배포하지 않고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배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 Windows 기반 프로그램을 엔터프라이즈 전체의 컴퓨팅 장치에 빠르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은 프로그램을 자주 업데이트하거나 잘 사용하지 않거나 관리하기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
  • 가정용 컴퓨터, 키오스크, 운영 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하드웨어, Windows 이외의 운영 체제 등의 장치를 통해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중앙 데이터 저장소에 액세스해야 하는 지점 작업자는 RD 세션 호스트 서버의 프로그램에 원격으로 액세스함으로써 프로그램 성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집약적 프로그램의 경우 저속 연결에 최적화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은 대개 일반 광역 네트워크보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연결을 통해 실행했을 때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작업참조 항목
RD 세션 호스트 서버의 필요 여부를 결정합니다.
관리 목적으로만 원격 연결을 허용하려면 RD 세션 호스트 서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관리 목적의 원격 연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원격 데스크톱 사용을 참조하십시오.
RD 세션 호스트 서버를 위한 라이선스 요구 사항을 검토합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연결된 각 사용자 또는 컴퓨팅 장치에는 유효한 RDS CAL(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클라이언트 액세스 라이선스)이 있어야 합니다.
Windows Server 2008 R2를 실행하는 RD 세션 호스트 서버가 Windows Server 2008을 실행하는 라이선스 서버를 하나 이상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하고, 라이선스 서버에 유효한 RDS CAL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의 라이선스 요구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indows Server 2008 R2 TechCenter(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138055(페이지는 영문일 수 있음))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서 호스팅할 프로그램을 결정합니다.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컴퓨터에 RD 세션 호스트 역할 서비스를 설치해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 RD 세션 호스트 역할 서비스를 설치하면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일부 기존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을 제거한 다음 다시 설치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프로그램 설치를 참조하십시오.
다음 정보를 검토합니다.
  • 하드웨어 요구 사항
  • 용량 및 확장성
Windows Server 2008 R2 TechCenter(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138055(페이지는 영문일 수 있음))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부하가 분산된 RD 세션 호스트 서버 팜을 배포해야 하는지 결정합니다.
RD 연결 브로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indows Server 2008 R2 TechCenter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페이지(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140432(페이지는 영문일 수 있음))를 참조하십시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서 사용할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싱 모드를 결정합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구성된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싱 모드는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스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RDS CAL의 유형과 일치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싱 모드 지정을 참조하십시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서 RDS CAL을 요청할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스 서버를 결정합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연결 중인 사용자 또는 컴퓨팅 장치에 대한 RDS CAL을 요청할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스 서버를 지정하려면 RD 세션 호스트 서버가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를 결정합니다.
RD 세션 호스트 서버의 Remote Desktop Users 그룹은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원격으로 로그온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와 그룹에 부여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Remote Desktop Users 그룹 구성을 참조하십시오.
RD 게이트웨이 서버 배포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RD 게이트웨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indows Server 2008 R2 TechCenter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페이지(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140433(페이지는 영문일 수 있음))를 참조하십시오.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네트워크 수준 인증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클라이언트가 RD 세션 호스트 서버에 연결하는 경우 연결 프로세스 초반에 사용자를 인증하여 RD 세션 호스트 서버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초기 사용자 인증 방법을 네트워크 수준 인증이라고 합니다.
Windows 방화벽에 대한 정보를 검토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역할을 설치하면 Windows 방화벽의 구성이 변경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및 Windows 방화벽을 참조하십시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닷넷과 MFC에서 OCX컨트롤 추가하기

1. 프로젝트 생성 (일반적인 윈폼 프로젝트를 만든다) 닷넷 또는 MFC 응용(윈폼) 프로그램으로 프로젝트 생성 응용프로그램 종류는 대화상자 기반으로 생성한다. 2. OCX 등록 (핵심) 도구 상자에 추가 해놓고 사용한다. 도구 -> 도구 상자 항목 선택(X) -> 찾아보기 -> OCX 파일 선택 다이얼로그 편집기에서 도구상자를 보면 추가한 OCX가 보인다. 3. OCX 그리기 다이얼로그에 추가한 OCX를 그린다. 4. OCX 변수 등록(MFC) OCX를 다이얼로그에서 오른쪽버튼 ->변수추가 OCX에 해당하는 변수를 등록한다.(닷넷은 바로 변수가 생성 되니 바로 사용한다.)

C# 에서 OCX 파일 DLL로 만들어서 사용하기

C# 에서 OCX 파일 DLL로 만들어서 사용하기 C++에서 만든 OCX파일을 DLL로 만들어서 사용해야 할때가 있다 http://orthogonal.tistory.com/189 Microsoft SDKs (개발 도구 폴더) 에서 Axlmp 명령을 이용해서 dll을 만들어주자 참고 에러 발생 시 또는 사용 법 http://blog.naver.com/renomahr/188250151

모바일 분류| 핸드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 테더링 제한 없이 사용하기

  핸드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 테더링 제한 없이 사용하기 아실 분들은 아시겠지만 핸드폰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테더링이 무한이 아닙니다. 요금제에 따라서 10~40기가 정도를 쓸 수 있고 그 이상이 되면 속도 제한이 걸립니다. 그러나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우회로 테더링(핫스팟)을 무한으로 속도 제한 없이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구글 스토어의 경우 Android Proxy Sever 어플이 있습니다. 이걸 다운을 받으시고 설치하신 후 HTTP/HTTPS Proxy 켜시면 되고 좀 더 자세한 설정을 원하시면 우측 상단에 점 3개가 가로로 있는 부분 눌러서 설정을 잡을 수 있습니다. 다른 거 만질 건 없습니다. 그냥 오토스타트 정도만 켜주면 됩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 만드는 기능도 있는데 어차피 테더링 접속할때 비번 넣고 들어가도록 했을테니 비번을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한 가지 빼먹었네요.  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가셔서 백그라운드 데이터 사용허용을 체크를 해주셔야 화면이 꺼져도 정상적으로 테더링이 됩니다. 그리고 윈도우에서 프록시 설정을 잡아 주시고 검색창에 프록시 설정 변경 검색하고 열기해서 들어가면 됩니다. 그리고 Android Proxy Sever에서 설정했던 아이피 주소와 포트를 넣어주시면 되구요. 로컬 주소에 프록시 서버 사용안함은 선택을 안하셔도 됩니다.  그냥 위에 세미콜론으로 접속을 원하는 내부망 주소를 넣어주시면 그 주소만 프록시 없이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이제 핸드폰에 테더링을 켜고 프록시 와이파이로 접속하면 무제한으로 테더링(핫스팟)을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테더링을 무제한으로 사용하는거니 그냥 데이터 통신연결을 꺼주셔야 평소와 똑같이 업데이트나 다른 걸 편안하게 이용가능합니다. 잠깐씩 출장갈때 느려 터지고 믿을 수 없는 호텔 와이파이로 놋북 사용하느니 이렇게 해 놓구 테더링 쓰는게 더 안전하고 빠릅니다. 그리고 딱히 집에서 인터넷도 많이 안쓰는데 한달에 ...